반응형
switch case문 이란?
switch case 문은 많은 분기를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문법이다.
switch 문의 필요성
if else 문으로 다양한 조건을 처리하려면 else if 를 무한 반복해야 하는데 이는 가독성을 매우 떨어트린다.
if value == "A" {
print("value is A")
} else if value == "B" {
print("value is B")
} else if value == "C" {
print("value is C")
} ...
프로그래밍은 가독성이 매우 중요하므로, 분기가 4개 이상인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이 switch case 문을 사용해 분기를 처리하는 것이 좋다.
let value = "Hello Swift"
switch(value){
case "A" :
print("value is A")
case "B" :
print("value is B")
case "C" :
print("value is C")
default :
print("value is \(value)")
}
switch case 문의 문법
switch case 문은 다음의 문법을 따른다. case 뒤에는 Contition이 오며 ':' 뒤에는 해당 Condition을 만족할 경우 수행할 코드 블록이 오게 된다. 만약 만족하는 Condition이 없는 경우에는 'default :' 의 뒤에 오는 코드 블록을 수행하게 된다.
switch(value){
case Condition1 :
Condition1 Block
case Condition2 :
Condition2 Block
case Condition3 :
Condition3 Block
default :
Default Block
}
예를 들어 다음의 코드를 수행할 경우
let value = "C"
switch(value){
case "A" :
print("value is A")
case "B" :
print("value is B")
case "C" :
print("value is C")
default :
print("value is \(value)")
}
다음과 같이 결과가 나온다.
반응형
'IOS > Swif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wift] struct 내부에서 변수값 변경하기 (0) | 2021.12.19 |
---|---|
[Swift] struct 한 번에 정리하기 (1) | 2021.12.19 |
[Swift 제어문] if 문 다루는 방법 한 번에 정리하기 (0) | 2021.12.19 |
[Swift] Optional을 다루는 다양한 방법 : nil 다루기 (0) | 2021.12.19 |
[Swift] nil 과 Optional 이란 무엇인가? (0) | 2021.12.19 |